대전

검색
  • 0
닫기

충남소방, 전기차 화재 잡는다…워터포켓 전술 개발

0

- +

질식소화포, 와이어 이용한 전술 실증…보완 거쳐 하반기 보급 계획

워터포켓 설치 후 충수를 위해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충남소방본부 제공워터포켓 설치 후 충수를 위해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충남소방본부 제공충남소방본부가 전기차 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화수조를 신속하게 만들어내는 '워터포켓' 전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워터포켓 전술은 질식소화포와 와이어를 이용해 크레인 등 중장비 없이 손쉽게 소화수조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의 연소시간이 길고 지속적인 열 전이로 인해 완전 진화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면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꼽히고 있다. 
 
실제 지난달 4일 부산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의 경우 불길이 차량을 덮기에 불과 3초가 소요된 반면 화재를 완전 진압하는데에는 7시간이나 소요됐다. 
 
국내 소방기관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다량의 물로 장시간 냉각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 
 
이에 충남도 소방본부는 올해 초부터 연구를 시작해 질식소화포와 와이어를 이용해 소화수조를 만들어내는 워터포켓 전술 개발에 성공했으며 지난 달 24일 세부 실증을 통해 효과를 입증했다. 
 
이 날 소방관들은 6분 만에 워터포켓을 완성해 차량을 질식소화포로 감싸올렸고, 2분 만에 3톤의 소화수를 충수하는데 성공했다. 
 
소방본부는 실증 결과에 대한 보완작업을 거쳐 하반기 2차 실증 후 소방관서에 보급할 계획이다. 
 
김연상 소방본부장은 "전기차 화재의 해결책이 보이는 것 같다"며 "좀 더 보완하고 연구해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