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18일 송활섭 시의원 제명안 처리를 다룰 대전시의회 본회의장 앞에서 제명안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정세영 기자대전시의회가 강제 추행 혐의로 유죄를 선고 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부결한 것을 두고, 지역 정치권에서 '국민의힘의 책임이 크다'며 국민의힘을 잇따라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18일 논평을 통해 "대전시의회가 시민의 대표기관이기를 스스로 포기한 처사로, 이제는 대전시의회가 아니라 '성범죄자 보호구역'이라고 불러야 할 판"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또 "의회 다수당인 국민의힘도 '제 식구 감싸기'라는 퇴행적 행태에 힘을 보탰다"며 "공당으로서 책임을 방기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성범죄자를 감싼 시의원들의 행동을 방조했는데, 이것이 과연 정당인지, 아니면 범죄자 카르텔인지,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오늘로써 시민의 대표 자격을 스스로 내던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의당 대전시당은 '대전시의회 22석 중 17석을 차지하고 있는 국민의힘 대전시당이 대전시의회에 깊은 유감'이라는 논평을 낸 것과 관련해 "뻔뻔한 말장난에 치가 떨린다. 그렇게 유감이면 지금 즉시 강제 추행 혐의를 받고 있는 송활섭 시의원에 대한 제명 절차에 돌입하라"고 요구했다.
정의당은 "가해자를 감싸고 시민을 배신한 국민의힘 전체의 책임인 만큼 유감이라면 지금 당장 소속 대전시의원 전원에게 책임을 묻고 송활섭 시의원을 제명하고, 피해자에게 사죄하라"고 따져 물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대전시의회에서 송활섭 의원 징계안이 시민의 눈높이에 맞춰 가결되기를 기대했으나, 끝내 부결된 것에 대해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한다"며 "무엇보다도 시민의 뜻을 대변해야 할 시의원들이 무기명 비밀투표라는 장막 뒤에 숨어 시민의 요구와 기대를 외면한 점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시민의 신뢰를 크게 저버린 행위이며, 정치 불신을 더욱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며 "이에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고 성명을 내놓았다.
국민의힘 소속이었던 송활섭 시의원은 강제 추행 사건이 알려진 뒤 당에서 징계 절차에 들어가자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시의원 활동을 하고 있다.
앞서 대전지법 형사8단독은 지난달 10일 강제 추행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송 의원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성폭력예방 강의 40시간 이수 명령을 선고했다.
송 의원은 법정에서 "격려 차원이었다"며 혐의를 부인해 왔지만, 재판부는 "20살 이상 어린 피해자가 사회적 지위가 높은 피고인에게 엉덩이를 맞거나 손을 잡히는 등의 신체접촉을 당한 점은 성적 수치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라며 "강제 추행의 고의가 충분히 인정된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이날 임시회를 열어 송 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부결 처리했다.